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안녕하세요.

텐버거 머니

재테크119입니다.

 

집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금융 전략이 필요합니다.

자격요건, 금리, 주택종류, 혼인기간 등 고려할 것이 적지 않습니다.

그래서 오늘은 부부(신혼부부 포함)가 주택 및 오피스텔을 구입하실 경우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저금리 주택구입자금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.

 

 

 

본 주택구입자금은 주택도시기금에서 지원하는 상품입니다.

 

1. 신혼부부전용 구입자금

 가. 대상

  - 부부합산 연속득 7,000만원 이하

  - 신혼부부 (혼인기간 7년 이내 또는 3개월 이내 결혼예정자)

  - 생애최초 주택구입자

 

나. 금리

  - 연 1.7% ~ 연 2.75%

 

다. 한도

  - 최대 2억 2,000만원 이내 (LTV 70%, DTI 60% 이내)

 

2. 신혼희망타운전용 주택담보장기

 

 

 가. 대상

  - LH가 공급하는 주거전용면적 60m2 이하의 신혼희망타운 주택 입주자

 

 나. 금리

  - 연 1.3% (고정금리)

 

다. 한도

  - 최고 4억원 이내 (주택가액의 최대 70%)

 

3. 수익공유형 모기지

 가. 대상

  - 부부합산 총소득 6,000만원 이하 (생애최초 주택구입자는 7,000만원 이하)

  -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 또는 5년 이상 무주택자인 세대주

 

 나. 금리

  - 연 1.5% (고정금리)

 

다. 한도

  - 주택가격의 최대 70%, 부부합산 연소득 4.5배 이내

  * 단, 무소득자 및 1,800만원 이하 소득자는 8,000만원 한도

 

4. 손익공유형 모기지

 가. 대상

  - 부부합산 총소득 6,000만원 이하 (생애최초 주택구입자는 7,000만원 이하)

  -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 또는 5년 이상 무주택자인 세대주

 

 나. 금리

  - 최초 5년간 연 1.0% 이후 연 2.0% (고정금리)

 

다. 한도

  - 주택가격의 최대 40% (호당 2억원 이내) / 금융기관 모기지 포함 LTV 70% 이내)

  - 연소득 4.5배 이내 (단, 무소득자 및 1,800만원 이하 소득자는 8,000만원 한도)

 

5. 오피스텔 구입자금

 

 

 가. 대상

  - 부부합산 연소득 6,000만원 이하

  - 대출신청시 세대주 또는 세대주로 인정되는 자로 세대원 전원이 6개월 이상 무주택자인 경우

 

 나. 금리

  - 연 2.8%

 

 다. 한도

  - 최대 7,000만원 이내 (다자녀가구는 7,500만원 이내)

 

참고적으로 현재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0.5%이고 COFIX신규는 2020년 9월 15일 기준 0.8%입니다.

또한, 일반 시중은행의 주택구입자금 금리는 은행별 및 부수거래조건별로 다소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약 2.2% ~ 2.5% 정도입니다.

 

제가 정리해드린 정보와 본인의 주거래은행에 문의해보시고 꼼꼼하게 비교해 보세요.

 

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앨런 그린스펀은 "문맹은 생활을 불편하게 하지만 금융문맹은 생존을 불가능하게 만든다"라고 했습니다.

 

 

 

 

자산과 부채, 노동소득과 금융소득, 투자와 투기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학습을 바탕으로 현명한 결정하시길 바랍니다.

 

자세한 사항은 서울주거포털(https://housing.seoul.go.kr/)을 참조하세요.

반응형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