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안녕하세요.
텐버거 머니
재테크119입니다.
집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금융 전략이 필요합니다.
자격요건, 금리, 주택종류, 혼인기간 등 고려할 것이 적지 않습니다.
그래서 오늘은 부부(신혼부부 포함)가 주택 및 오피스텔을 구입하실 경우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저금리 주택구입자금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.
본 주택구입자금은 주택도시기금에서 지원하는 상품입니다.
1. 신혼부부전용 구입자금
가. 대상
- 부부합산 연속득 7,000만원 이하
- 신혼부부 (혼인기간 7년 이내 또는 3개월 이내 결혼예정자)
- 생애최초 주택구입자
나. 금리
- 연 1.7% ~ 연 2.75%
다. 한도
- 최대 2억 2,000만원 이내 (LTV 70%, DTI 60% 이내)
2. 신혼희망타운전용 주택담보장기
가. 대상
- LH가 공급하는 주거전용면적 60m2 이하의 신혼희망타운 주택 입주자
나. 금리
- 연 1.3% (고정금리)
다. 한도
- 최고 4억원 이내 (주택가액의 최대 70%)
3. 수익공유형 모기지
가. 대상
- 부부합산 총소득 6,000만원 이하 (생애최초 주택구입자는 7,000만원 이하)
-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 또는 5년 이상 무주택자인 세대주
나. 금리
- 연 1.5% (고정금리)
다. 한도
- 주택가격의 최대 70%, 부부합산 연소득 4.5배 이내
* 단, 무소득자 및 1,800만원 이하 소득자는 8,000만원 한도
4. 손익공유형 모기지
가. 대상
- 부부합산 총소득 6,000만원 이하 (생애최초 주택구입자는 7,000만원 이하)
-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 또는 5년 이상 무주택자인 세대주
나. 금리
- 최초 5년간 연 1.0% 이후 연 2.0% (고정금리)
다. 한도
- 주택가격의 최대 40% (호당 2억원 이내) / 금융기관 모기지 포함 LTV 70% 이내)
- 연소득 4.5배 이내 (단, 무소득자 및 1,800만원 이하 소득자는 8,000만원 한도)
5. 오피스텔 구입자금
가. 대상
- 부부합산 연소득 6,000만원 이하
- 대출신청시 세대주 또는 세대주로 인정되는 자로 세대원 전원이 6개월 이상 무주택자인 경우
나. 금리
- 연 2.8%
다. 한도
- 최대 7,000만원 이내 (다자녀가구는 7,500만원 이내)
참고적으로 현재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0.5%이고 COFIX신규는 2020년 9월 15일 기준 0.8%입니다.
또한, 일반 시중은행의 주택구입자금 금리는 은행별 및 부수거래조건별로 다소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약 2.2% ~ 2.5% 정도입니다.
제가 정리해드린 정보와 본인의 주거래은행에 문의해보시고 꼼꼼하게 비교해 보세요.
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앨런 그린스펀은 "문맹은 생활을 불편하게 하지만 금융문맹은 생존을 불가능하게 만든다"라고 했습니다.
자산과 부채, 노동소득과 금융소득, 투자와 투기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학습을 바탕으로 현명한 결정하시길 바랍니다.
자세한 사항은 서울주거포털(https://housing.seoul.go.kr/)을 참조하세요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삼성엔지니어링
- 효성첨단소재
- 자영업자 실업급여
- 태평양물산
- 환인제약
- 셀트리온
- 케어랩스
- 청년 창업 지원금
- 역세권 청년주택
- 신혼희망타운
- LG전자
- 컴투스
- 샘표식품
- 에스엔유
- sk디앤디
- 효성중공업
- 파미셀
- 이수화학
- 현대글로비스
- 스페코
- 롯데케미칼
- 현대제철
- 에이치엘사이언스
- 청년우대형 청약통장
- 비덴트
- 더블유게임즈
- 청년 전세임대주택
- 윈스
- 일용근로자 실업급여
- 금호석유화학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